SK하이닉스는 미국, 싱가포르, 홍콩, 중국 등의 해외 판매 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으로써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SK텔레콤으로 최대 주주 변경되어 현재의 SK하이닉스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주력 제품군 DRAM과 NAND
SK하이닉스의 주력 제품군은 DRAM과 NAND Flash라고 볼 수 있습니다.
DRAM과 NAND Flash의 차이점은 디바이스의 전원이 OFF 되면 저장된 메모리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가 DRAM이고 비휘발성 메모리가 NAND Flash라고 보면 됩니다. 흔히 PC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가 DRAM 해당되며 하드디스크가 NAND Flash라고 볼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주가 현황 및 전망
SK하이닉스는 시가총액 2022년 10월 18일 기준 시가총액 69조 3058억원이며 코스피 시가 총액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52주 최고가는 134,000원이며 최저가는 80,400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은 2021년 기준 42.9조를 기록하였고 매년 꾸준한 매출 상승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2022년 올해도 완만한 매출 상승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49.5조의 매출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관의 투자의견은 매수 추천에 목표주가는 121,818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배당금
SK하이닉스의 배당은 분기 배당이며 2022년 기준 1540원으로써 분기마다 385원이 지급됩니다.
1. 고정배당금을 1000원 > 1200원으로 상향
2. 분기 배당 실시
3. 향후 3년간 잉여현금 흐름 50% 주주환원 재원 사용 -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4. 잉여현금흐름의 5% 추가 배당 기조 유지
위와 같이 적극적인 주주 환원 정책을 선언하며 기업 성장과 주주 환원의 두마리의 토끼를 잡는
투트랙 경영 전략을 선언한 바 있습니다.
주목해야할 이슈와 주가 전망
현재 반도체 업종이 미국-중국의 분쟁으로 인하여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회사의 장비 수출을 금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삼성과 SK하이닉스 모두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는 상황이어서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으나 다행히도 1년간은 유예기간을 주기로 하였습니다.
하지만 탈중국화는 쉽지 않은 상황이고 미국과 중국의 양국 간의 분쟁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 될 것입니다. 적당한 선을 유지하며 협상을 통해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미국 생산 설비 확대를 고려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입니다.
또한 반도체 시장은 글로벌 경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최근 살인적인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여파로 글로벌 경제가 급격히 침제 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D램 현물 가격이 연일 급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내년에도 이와 같은 움직임은 지속될 것으로 시장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종목정보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 주식 정보 및 전망 (0) | 2022.10.19 |
---|---|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그리고 4공장 완공 (0) | 2022.10.18 |
LG에너지솔루션 기업 정보 및 주가 전망 (0) | 2022.10.17 |
네이버(Naver) 기업 정보와 주가 전망 (0) | 2022.10.17 |
금호석유 기업정보 및 주가 전망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