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개요
포스코는 1967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하에 철강 산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국내 자금으로는 종합 제철소를 짓는 것이 역부족이었고 미국의 투자 유치를 진행하였지만 실패하여 대일 청구권 자금을 이용하여 1968년 박태준 초대 사장이 취임하며 창립하게 되었습니다.
20221년 12월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의결하여 2022년 1월 주주 총회의 승인을 받아 지주회사 전환을 완료하였습니다.
포스코홀딩스 주가 전망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2022년 11월 2일 기준 시가총액 22조 308억 원이며 코스피 시가 총액 14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316,000원이고 52주 최저가는 211,000원입니다.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86.4조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기관의 투자 의견은 매수 추천에 평균 목표주가는 355,385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통 산업인 철강주는 대표적인 굴뚝주(건설, 청강, 화학주)로써 상당히 낮은 저PER 주식 중에 하나입니다. 안정적인 매출과 높은 배당이 굴뚝주의 특징이자 장기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투자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 홀딩스의 자회사는 포스코인터내셔널(무역), 포스코 건설, 포스코 ICT, 포스코 케미컬(2차 양극 재생산) 등 신소재 사업과 2차 전지 분야의 매출 증가로 안정적 매출과 높은 배당 그리고 자회사 지분 매출 성장에 따른 미래 성장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배당금 지급
포스코홀딩스는 분기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배당금 지급 내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분기 3000원
- 2분기 4000원
- 3분기 5,000원
- 4분기 5000원
- 주당 연 배당 17,000원 지급
배당 수익률이 6%을 넘는 높은 배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예상 배당 지급액은 작년과 비슷 수준이거나 조금 낮은 14,000~15,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배당 금액이 줄어들 수 있는 요인은 태풍 힌남노에 의한 수해 복구
비용이 3분기에 이미 반영되었고 4분기에도 반영될 예정입니다.따라서 4분기 배당 지급액이 축소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뉴스에 따른 주가 전망
- 글로벌 경기 침체, 철강 시황 부진, 힌남노 태풍으로 인한 영업 이익 손실 예상
- 힌남노 침수 패해로 인해 생산 및 판매 감소에 따른 3분기 영업 손실 2221억 원, 수해 복구 비용 1860억 원 발생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철강 수요 증가와 생산 Capa 공급 부족(러-우 전쟁 수혜주)
- 아르헨티나 리튬 광물 개발 자원 예상 매장량보다 6배 높은 1350만톤으로 추정 2차 전지 양극재 소재 확보
함께 보면 좋은 종목정보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 (0) | 2023.02.27 |
---|---|
현대모비스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0) | 2023.02.27 |
삼성물산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그리고 배당 (0) | 2023.02.27 |
카카오 주가 전망 및 하락요인은? (1) | 2023.02.24 |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및 실적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