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난방 전기세 계산하는 방법 - 부자를 꿈꾸는 상상충전소
IT 및 생활 정보 / / 2022. 11. 2. 08:00

에어컨난방 전기세 계산하는 방법

요즘 한국에 전기 요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특히 여름이나 겨울철에 에어컨이나 전기를 이용한 난방기나 전기담요 등을 사용하게 되면 누진세가 적용되어 상당히 많은 요금이 발생되게 됩니다.

따라서 전력 사용이 높은 냉난방기의 대략적인 전기세가 얼마가 나오는지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조금이라도 전기세를 아낄 수 있는 누진세 적용 계산에 따른 단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택용과 일반용 전기세의 차이점

 

전기는 크게 주택용과 일반용으로 나뉘게 됩니다.주택용은 주거 목적의 가구에 공급되는 전기이고 일반용은 흔히 얘기하는 상업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택용 전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요금으로써 대부분의 가정집은 저압을 공급받고 있습니다. 흔히 교류 220V전압이 이에 해당됩니다. 일반용(상업용) 전기와 다르게 3단계의 누진제가 적용됩니다.

 

적용 주택:

 

  • 주거용 고객 (아파트 포함) 계약 전력 3Kw 이하의 고객
  • 독신자 합숙소 (기숙사 포함) 또는 집단 주거용 사회복지 시설로 주택용 전력의 적용을 희망한 경우
  •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은 아니지만 실제 주거용 도로 이용되는 오피스텔)
일반용 (상업용) 전기

일반용 전기는 상업 건물에 쓰이며 갑과 을로 나뉘며 300KW 미만 사용인 경우 갑, 300KW 이상 사용할 경우 을로 나뉘게 되며 다소 복잡한 요금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 시간대별로 전기 요금 구간이 달라지는 피크타임 요금이 적용됩니다.

 

복잡한 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 주택용 주거 형태의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N사의 포털 사이트에 전기 요금 계산을 검색하시면 전기 요금 계산기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2가지 단계를 거쳐 최종 전기세 계산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전기제품 사용량 계산

 

첫 번째는 전기 제품 사용량 계산 탭을 클릭하고 예를 들어, 에어컨으로 제품 종류를 선택하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력인 1800W로 숫자가 자동 입력됩니다.평균 사용 시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간 평균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줍니다.

에어컨은 제품마다 소비 전력이 다르니 사용하고 계신 에어컨이나 난방기의 소비전력을 확인하시어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첨부된 이미지와 같이 일간 5시간 사용 기준 월간 사용량이 270 KWh라고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사용량 요금계산

 

두 번째는 총 사용량 요금 계산 탭을 누른 뒤 계산된 전력 사용량을 입력하여 줍니다.(예시:270KWh 입력)

제가 계산했던 1800W 소비 전력 에어컨을 일일 5시간 사용할 경우 한 달에 순수 에어컨이 발생되는 전기세는 43,230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념하셔야 될 부분은 계산된 전기세는 누진세가 적용되지 않고 전기세 기본료를 제외한 전기세입니다.

 

누진세 전력단가 요금

주택용 전기는 3단계 누진 요금제로 운영되며 하계(7.1~8.31) / 기타 계절(1.1~6.30 / 9.1~12.31) 그리고 사용 전력량에 따라 3단계 누진세가 적용됩니다.

하계의 경우 2022년 10월 1일 기준으로 전력 단가가 100.6원으로 인상되었으며 1000 KWh 초과 사용의 경우 슈퍼 유저 요금이 적용되어 전력 단가가 709.4원/KWh이 적용되기 때문에 특별히 1000 KWh가 초과되지 않게 신경 쓰셔야 합니다.

기타 계절은 하계보다 누진세 적용 구간이 200 KWh으로 등급이 나눠지게 됩니다. 이는 하계 에어컨 소비량이 급증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전력 등급 300 KWh로 완화시켜 조금의 전기세 절감의 혜택을 주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