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및 생활 정보

불을 꺼도 깜빡이는 LED전등 계속 사용해도 될까?(화재위험,전기세)

oopsy7777 2022. 11. 1. 15:40

요즘 많이 사용하는 LED 전등을 방이나 거실에 설치한 뒤에 불을 꺼도 간헐적으로 번쩍거리거나 밤에 자려고 불을 껐음에도 불구하고 아른아른 거리는 잔광 불빛이 전등에 남아 있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와 조치 방법은 이전에 제가 발행했던 글을 참조하시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22.09.07 - [분류 전체보기] - 스위치를 꺼도 LED 조명이 깜빡이는 잔광현상 해결방법은?

스위치를 꺼도 LED 조명이 깜빡이는 잔광현상 해결방법은?

스위치를 꺼도 불빛이 남는 잔광 현상이란? 최근에 기존 삼파장 방식의 램프나 전등을 LED로 교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전력 소비로 전기세도 절약하고 밝은 빛을 내는 LED 전등!! 그러나 설치

richideabank.tistory.com


이와 같은 조치 방법에도 불구하고 전기 제품이다 보니 다루기 어렵거나 방법을 몰라 접근을 못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거실 같은 경우는 밤에 잠을 자는 곳이 아니다 보니 취침에 방해되지는 않아 그냥 두고 쓰려는 분들이 있을 거고 그냥 사용할 경우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 화재의 위험은 없는지 그리고 전기세가 많이 나오지는 않을지 걱정하실 겁니다.

LED잔광 현상에 의한 화재의 위험은?


우선 걱정하시는 화재의 위험은 아주 확률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잔광 현상이 나타나는 기본적인 현상은 아주 미세한 전류가 스위치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LED 전등으로 유입이 되기 때문인데요. 이는 앞서 표현한 것처럼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전기 과부하를 유발하거나 화재를 발생시키기에는 무의미한 정도의 양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전류가 계속 흐르면 전기세가 과다 청구되나요?


이 부분도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아주 미세한 전류가 유입되므로 전기세가 발생되기에는 무의미한 수치이기 때문에 걱정을 안 하셔도 됩니다.

예를 들어 LED 방등의 경우 보통 40W 정도의 소비전력이 발생되는데 이를 하루 12시간 사용 기준으로 한 달 전기세를 계산해보면 1,130원 정도가 발생됩니다.

여기서 미세전류는 소비전력의 단 1W 정도 수준도 되지 않기 때문에 잔광 현상에 의한 전기세는 거의 0원에 가깝습니다.

결론 도출


하지만 계속 사용하시는 것이 불안하시다면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사무소에 요청하시고 일반 주택 거주자는 전기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전기의 상을 바꿔보거나 잔광 제거 콘덴서를 설치하여 근본적인 잔광 현상을 없애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작업을 시도하실 경우는 꼭 안전을 위해 차단기의 전원을 내려 전기를 원천 차단하셔야 합니다.